Notice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예스24
- 일상
- r
- 이북리더기
- 편의점
- 의정부카페
- 마켓컬리
- 양주카페
- 영화
- 티스토리챌린지
- 원데이클래스
- 다이어트는내일부터
- 간헐적단식
- 씨유마카롱
- 어드밴트캘린더
- 예스24북클럽
- 키보드케이스
- 다이어트습관
- 우리가빛의속도로갈수없다면
- 북클러버
- 쫀득한마카롱
- 오블완
- 아이패드키보드
- 다니엘루틴
- 편의점마카롱
- 독서
- 빅데이터
- 북클럽
- 빅데이터청년인재
- 편의점디저트
- Today
- Total
저장소
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 활용 방법, 위키북스 본문
데이터가 한눈에 보이는 시각화 : 네이버 도서
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.
search.shopping.naver.com
시각화 대시보드 구성이 필요하여, 필요 부분 발췌
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의 활용
“데이터 시각화 대시보드를 잘 만드는 방법”, 104p
좋은 시각화 대시보드 = 사용자가 데이터를 통해 알고 싶은 궁금증에 대한 답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니즈 충분히 반영한 결과물
[사용자 니즈 파악]
나열이 아니라 설계임을 잊지말 것.
대시보드를 통해 무엇이 알고 싶은지,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지 등의 니즈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전제되야 함
@대시보드 종류 : 탐색형 / 비교형 / 요약형
@니즈를 파악하는 방법
1)활용 대상 데이터 파악 : 내가 보고싶고, 분석하고 싶은 데이터는 무엇인지 확인.
-> 구체적인 궁금증 정의,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무엇인지 파악 (전체 데이터 중 분석 필요한 데이터 찾는 과정. 범위 조정 가능 단계)
2)핵심 지표 선정 : 분석 대상 데이터가 어떤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
-> 어떤 변수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, 다수 지표 중 내가 실제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표(핵심 지표)가 무엇인지 확인 필요.
핵심 지표를 찾기 어렵다면, 기어베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, 대시보를 활용할 대상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가 무엇인지 파악.
3)인사이트 도출 시나리오 파악 : 대시보ㄷ를 보고 활용할 사람이 데이터로 알고 싶은 궁금증을 찾기 위한 시나리오 고려.
-> 살펴보는 지표 순서, 탐색 순서 등 사용자에게 구체적으로 물어보거나 파악 필요.
[효과적인 시각화 대시보드 구성]
@고려할 점
1)목적에 적합한 시각화 차트 활용 : 개별 시각화 차트는 데이터 특성과 활용 목적에 맞는 시각화 유형 사용.
2)한 화면의 시각화 차트는 5개 이내 : 최소한의 시각화 차트와 인터랙티브 기능을 구성해 인사이트를 직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도록 구성 필요.
3)핵심 인사이트별 개별 대시보드 제작 : 모든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단 하나 대시보드를 만들기 보다는, 니즈를 나눠서 여러개의 데이터 시각화 보드 제작.
-> https://m.blog.naver.com/sooheenam/221475287657
**참고 페이지 : 뉴스젤리(데이터 시가과 전문기업)
https://newsjel.ly/
뉴스젤리 : 데이터 시각화 전문 기업
뉴스젤리는 시각화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누구에게나 쉬운 데이터 활용 경험을 제공합니다.
newsjel.ly
'참고자료 > 시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 올해의 데이터 시각화 상, 한국 데이터저널리즘 어워드 (0) | 2022.11.29 |
---|
Comments